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연장근로가 쟁의행위에 해당하기 위한 요건

노무사시험 2차 노동법/노동법 최신판례

by 理知노동법 2022. 6. 17. 09:32

본문

[대법원 2022. 6. 9. 선고 2016도11744 판결 - B]

 

쟁의행위에 대한 엄정한 규율 체계와 헌법 제33조 제1항이 노동3권을 기본권으로 보장한 취지 등을 고려하면, 연장근로·휴일근로의 집단적 거부와 같이 사용자의 업무를 저해함과 동시에 근로자들의 권리행사로서의 성격을 함께 가지는 행위가 노조법상 쟁의행위에 해당하는지는 해당 사업장의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의 내용, 연장근로를 할 것인지에 대한 근로자들의 동의 방식 근로관계를 둘러싼 여러 관행과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엄격하게 제한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문제가 된 사안의 경우

 

현대로템지회(방위산업장에서 방산물자 생산: 쟁의행위 금지됨) 와 사측이 체결한 단체협약에는 연장근로·휴일근로는 현대로템지회의 사전 동의를 얻어 실시하되, 그에 대한 소정의 가산임금을 지급하고, 연장근로·휴일근로를 하지 않은 이유로 불이익 처우를 하지 못한다고 정하고 있다""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선 일정한 날을 연장근로일 또는 휴일근로일로 미리 지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필요할 때마다 신청자를 모집하는 방식으로 실시해 왔다

 

이러한 사실 등에 비춰 현대로템은 일정한 날에 연장근로·휴일근로를 통상적 혹은 관행적으로 해왔다고 단정하기 어렵다""이 사건 단체협상 기간에 연장근로·휴일근로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통상적인 연장근로·휴일근로를 집단적으로 거부함으로써 쟁의행위를 했다고 볼 수 없다"고 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