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근로자의 동의를 얻지 못한 불이익한 취업규칙 변경의 적용범위를 시행시기보다 소급하여 규정한 경우의 효력

노무사시험 2차 노동법/노동법 최신판례

by 理知노동법 2023. 1. 8. 18:47

본문

근로자의 동의를 얻지 못한 불이익한 취업규칙 변경의 적용범위를 시행시기보다 소급하여 규정한 경우의 효력 (B)

 

** 알고있는 내용의 반복입니다.

 

사건번호 : 대법 2022245518, 선고일자 : 2022-10-14

취업규칙의 작성·변경에 관한 권한은 원칙적으로 사용자에게 있으므로, 사용자는 그 의사에 따라 취업규칙을 작성·변경할 수 있으나, 근로기준법 제94조에 따라 노동조합 또는 근로자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하고, 특히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얻어야 한다. 이때 근로자의 동의는 근로자의 집단적 의사결정방법에 의한 동의임을 요하고, 이러한 동의를 얻지 못한 취업규칙의 변경은 효력이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취업규칙에서 정한 근로조건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할 때 근로자의 동의를 얻지 않은 경우에 그 변경으로 기득이익이 침해되는 기존의 근로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종전 취업규칙의 효력이 그대로 유지되지만, 변경된 취업규칙에 따른 근로조건을 수용하고 근로관계를 갖게 된 근로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당연히 변경된 취업규칙이 적용되고, 기득이익의 침해라는 효력배제사유가 없는 변경 후 취업근로자에 대해서까지 변경의 효력을 부인하여 종전 취업규칙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볼 수는 없다.

 

취업규칙의 개정이 근로자들에게 불이익하게 변경된 것인지 여부는 취업규칙의 개정이 이루어진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