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 대법 2022다219540·219557, 선고일자 : 2022-12-01
중요도 D
근로기준법 제43조제1항에 의하면 임금은 직접 근로자에게 그 전액을 지급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임금 중 일부를 공제하지 못하는 것이 원칙이고, 이는 경제적·사회적으로 종속관계에 있는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사용자는 같은 항 단서에 따라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임금의 일부를 공제하여 지급할 수 있지만, 그 예외의 경우를 넓게 인정하게 되면 임금을 생계수단으로 하는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엄격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근로기준법 제43조의 규정 형식이나 취지, 그 법적 성격 등에 비추어 보면,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에 임금의 일부를 공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효력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
교섭단위 분리 필요성의 의미 및 증명책임 (0) | 2023.02.13 |
---|---|
공정방송을 목적으로 한 쟁의행위의 정당성 (0) | 2023.01.08 |
사용사업주의 책임 있는 사정으로 말미암아 근로를 제공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 (0) | 2023.01.08 |
근로자의 동의를 얻지 못한 불이익한 취업규칙 변경의 적용범위를 시행시기보다 소급하여 규정한 경우의 효력 (0) | 2023.01.08 |
쟁의행위에 통상 수반되는 부수적 행위가 형법상 정당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