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반도체 연구개발 특별연장근로인가제도 업무처리 지침 (2025년 3월 14일 시행)

실무노동법/개별적 근로관계법

by 理知노동법 2025. 3. 17. 13:45

본문

1. 반도체 연구개발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마련 필요성

 

(여건 및 필요성) 기술경쟁 격화에 따라 핵심 인력의 집중적 연구 개발이 필수적

ㅇ 현행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는 인가기간 등과 관련 반도체 연구개발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상황

 

(보완 방안) 반도체 연구개발 분야에 한정하여 현행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업무처리 지침을 보완,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반도체 연구개발 여건 마련

 

* 2025312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결정

 

2. 시행시기

 

ㅇ 동 지침은 2025314일부터 시행(시행일부터 신청 가능

ㅇ 반도체 연구개발에 대한 특별연장근로 인가기준은 동 지침을 우선 적용, 그 외의 사항은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업무처리

지침을 따름

 

3. 근거법령

 

근로기준법 제53(연장 근로의 제한)

사용자는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와 근로자의 동의를 받아 1항과 제2항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다만, 사태가 급박하여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가를 받을 시간이 없는 경우에는 사후에 지체 없이 승인을 받아야 한다.

고용노동부장관은 제4항에 따른 근로시간의 연장이 부적당하다고 인정하면 그 후  연장시간에 상당하는 휴게시간이나 휴일을 줄 것을 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4항에 따라 연장 근로를 하는 근로자의 건강 보호를 위하여 건강검진 실시 또는 휴식시간 부여 등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시행규칙 제9(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의 근로시간 연장 신청 등)

 

법 제53조제4항 본문에서 특별한 사정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5.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2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소재ㆍ부품 및 장비의 연구개발 등 연구개발을 하는 경우로서 고용노동부 장관이 국가경쟁력 강화 및 국민경제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법 제53조제4항에 따라 근로시간을 연장하려는 경우와 연장한 경우에는 별지 제5호서식의 근로시간 연장 인가 또는 승인 신청서에 근로자의 동의서 사본 및 근로시간 연장의 특별한 사정이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 사본을 첨부하여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 제2항에 따른 근로시간 연장 인가 또는 승인 신청을 받은 날부터 3일 이내에 신청을 반려하거나 별지 제6호서식의 근로시간 연장 인가서 또는 승인서를 신청인에게 내주어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로 본문의 처리기간을 준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신청인에게 그 사유와 예상되는 처리기간을 알려주고 처리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 제3항에 따라 근로시간 연장 인가 또는 승인을 하는경우,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기간은 특별한 사정에 대처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으로 한다.

 

고용노동부 고시(2021-29): 특별연장근로 건강보호조치

 

. 건강보호조치

1. 사용자는 근로기준법 제53조제4항에 따라 연장근로(이하 특별연장근로라 한다)를 하는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조치를 실시하여야 한다.

 

특별연장근로 시간(추가 연장근로시간)18시간 이내로 운영

근로일 종료 후 다음 근로일 개시 전까지 연속하여 11시간 이상의 휴식시간 부여

특별연장근로기간 도중 또는 종료 후 다음과 같이 연속적 휴식시간 부여

- (1주 미만인 경우) 특별연장근로 종료 직후 특별연장근로시간 만큼의 연속휴식 부여

- (1주 이상인 경우) 1주 단위로 1(24시간) 이상의 연속휴식 보장

 

2. 사용자는 제1호 이외에도 특별연장근로를 하는 근로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근로자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건강검진을 하는 기관에서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사용자는 특별연장근로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해당 근로자에게 제2호에 따른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서면으로 통보해야 한다.

 

4. 사용자는 제2호의 건강검진에 따른 담당 의사의 진료소견이 있으면 휴가의 부여근로시간 단축, 야간근로의 제한, 연속 휴식시간 부여, 특별연장근로의 중단, 작업 장소의 변경, 작업 전환 등 해당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행정사항

 

1. (시행일) 202146

2. (적용례) 이 고시는 시행일 이후에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특별연장근로를 인가 하는 경우 (이 고시 시행일 전에 인가 신청이 접수되어 처리가 진행 중인 경우를 포함한다)부터 적용한다. 다만, 사후 승인의 경우에는 이 고시 시행일 이후 특별연장근로를 하는 경우에 대해 적용한다.

 

 

 

** 구체적인 지침은 아래 첨부파일 수록 

 

반도체 연구개발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업무처리 지침('25.3.14.).pdf
0.65MB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